건설/비탈면
연약지반 쌓기비탈면 안정해석시 적용하는 기준안전율MOAYO2016. 6. 23. 17:04
연약지반 쌓기비탈면 안정해석시 적용하는 기준안전율
구 분 | 기준 안전율 | 참조 | |
장 기 | 건기 | Fs > 1.3 | ▷쌓기체 내에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 |
우기 | Fs > 1.2 | ▷지하수 조건은 지반조사 결과, 지형조건 및 배수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안정성에 가장 불리한 상태가 발생하는 조건에 대하여 수행 ▷한쪽쌓기 한쪽깎이 비탈면에서는 상기조건에 따라 산정한 지하수위 또는 침투해석을 통한 지하수위를 이용하여 해석 ▷쌓기 표면에 강우침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설계계획빈도에 따른 해당지역의 가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등을 고려하여 강우침투를 고려한 해석 실시 | |
지진시 | Fs > 1.1 | ▷지진관성력은 파괴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시킴 ▷지하수위는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 |
단기 | Fs > 1.1 | ▷1년 미만의 단기적인 비탈면의 안정성(시공중 포함) ▷지하수 조건은 장기안정성 검토의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
'건설 > 비탈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반의 특성에 따른 표준 비탈면 (0) | 2016.06.24 |
---|---|
깎기비탈면 안정해석시 적용하는 기준 안전율 (0) | 2016.06.23 |
쌓기비탈면의 안전율 기준 (0) | 2016.06.23 |
네일로 보강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에 적용하는 안전율 (0) | 2016.06.21 |
앵커로 보강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에 적용하는 안전율 기준 (0) | 2016.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