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토공사

쌓기비탈면의 다짐

MOAYO2016. 6. 27. 11:46

쌓기비탈면의 다짐


쌓기층은 균일한 밀도를 얻기 위하여 다짐전에 땅고르기를 하고, 물을 뿌리거나 아니면 적당한 방법으로 건조시켜 최적함수비 상태에서 다져야 한다.


(1) 다짐기준

① 쌓기비탈면은 최대건조밀도(A, B방법)의 90% 이상 다짐도를 갖도록 하며 최대 0.2m의 다져진 두께로 균일한 

    층쌓기를 하여야 한다.

② 쌓기비탈면 위에 도로나 철도의 노상, 노반 등을 시공하여 다질 경우에는 해당 전문시방서의 다짐기준을 따른다.


(2) 시공함수비

① 기준밀도로 관리하는 흙의 다짐에는 다짐시험에서 구한 함수비 관리범위 내에서 실시한다.

② 쌓기재료가고함수비의점성토인경우에는시공중수시로흙을건조시켜함수비의 저하를 도모하여야 한다.


(3) 다짐장비

다짐장비는쌓기재료를고르게다지는데필요한충분한용량과대수를확보하여야 하며 흙 및 암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다짐장비를 선정한다.


(4) 흙쌓기 비탈면 다짐

흙쌓기 비탈면 표층부의 시공은 흙쌓기 본체와 동시에 대형다짐기계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균일하게 다짐하여야 한다.

① 인력과 소형 기계에 의한 비탈면을 다짐하는 경우 흙쌓기 본체를 구성한 후 비탈면에 흙을 보충하면서 진동 램머, 진동 평판, 진동 로울러 등의 소형다짐기계를 사용하여 다짐을 실시하여야 한다.

② 흙쌓기 용지 폭이 여유가 있는 경우, 부체도로가 있는 경우 등은 흙쌓기 폭보다 넓게 완성하고 후에 굴착 정형하는 방법으로 시공 할 수 있으며 흙쌓기 폭 보다 여유 있게 흙을 쌓아 다짐이 불충분한 흙쌓기 단부를 정형하여 시공한다.


(5) 암성토의 비탈면 마무리

암성토 비탈면 마무리는 암석이 비탈면으로부터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암석을 안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충분히 두드려 마무리 하여야 한다.


(6) 구조물 주변의 쌓기

① 구조물 주변의 쌓기는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편압을 주지 않도록 충분히 다져가며 쌓아야 한다.

② 쌓기 각층은 전체적으로 균등한 지지력을 갖도록 다져야 하며, 너비가 협소하여 전압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램머(rammer), 콤팩터(compacter) 등의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다짐을 하여야 한다.

'건설 > 토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되메우기시 다짐방법  (0) 2016.07.14
흙쌓기시 지반의 가공  (0) 2016.06.27
쌓기비탈면에서의 암쌓기  (0) 2016.06.27
사토장 계획  (0) 2016.06.24
토취장 계획  (0) 2016.06.24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