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도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배합설계 지침

MOAYO2016. 7. 22. 13:32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배합설계 지침



아스팔트 혼합물 배합설계의 최종 목표는 포장되는 도로의 기준에 따라 사용되는 골재와 아스팔트 등의 품질을 파악한 후에 각 재료가 기준에 적합하고, 경제성 있게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배합비율을 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같은 기준에 따라 배합설계를 수행하여도, 아스팔트 종류, 골재의 입도와 비중 등과 같이 생산할 때의 재료 특성에 따라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기준과 재료가 동일하여도 각 재료의 비율에 따라 나타나는 성능은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은 내구성, 강도, 안정성, 강성, 연성, 피로 저항성, 수밀성,작업성 등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아스팔트 혼합물이 생산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배합설계에 필요한 사용 장비는 부록에서 제시한 장비를 표준으로 한다.


(1) 포장 목적에 따른 시방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아스팔트 함량이 있어야 하지만, 과다한 아스팔트 함량은 포장의 소성변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의 유동성이나 처짐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배합설계를 통해 최적 아스팔트 함량을 구하여야 한다.


(2) 배합설계시에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 후에 적정한 공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공극이 공용중의 윤하중에 의한 충격 흡수 기능을 하기 때문에 공극이 기준 보다 작을 경우에는 쉽게 소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아스팔트가 표면으로 배어 나오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공극이 너무 클 경우에도 포장의 지지력이 약해져서 바퀴주행 방향으로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3)배수성 또는 투수성 포장은 포장 내부에 침투한 물이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설계를 하므로 문제가 없으나, 일반적인 아스팔트 포장은 교통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극을 확보하면서 내부에 공기나 물이 침투되지 않아야 한다. 만일 포장층 내부에 수분이 스며들 경우에는 포트홀과 같은 파손을 야기한다.


(4) 재료 분리나 성능의 저감 없이 포설될 수 있도록 충분한 작업성이 있어야 하며, 개질아스팔트 혼합물과 같이 특수한 혼합물의 경우 시험포장 등을 통하여 적합한 다짐온도 조건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5)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은 강우시에도 충분한 마찰 저항을 낼 수 있도록 적절한 골재 품질 및 골재입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가열아스팔트혼합물배합설계지침.pdf

출처: 건설교통부

댓글

04PLAN

흙막이가시설, 비탈면, 사면안정해석, 토목구조물, 강관추진공사, 비개착추진공사, 철도영향성검토, 지하철영향성검토, 공사중 영향검토, 유한요소해석 외 각종 특허공법 검토.

VISITED

Today :

Total :

SNS

  • 페이스북아이콘
  • 카카오톡아이콘
  • 트위터아이콘

Lately Post

Late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