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비탈면
깎기비탈면의 표준경사 및 소단기준MOAYO2016. 6. 20. 13:30
깎기비탈면의 표준경사 및 소단기준
▶깎기비탈면의 경사는 별도의 안정해석을 수행하여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풍화암 이하의 강도를 갖는 비탈면의 경우,
지반분야 책임기술자의 판단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표준경사를 적용할 수 있다.
-깎비탈면의 표준경사-
토 질 조 건 |
비탈면 높이(m) |
경 사 |
비 고 |
|
모 래 |
- |
1:1.5 이상 |
SW, SP |
|
사질토 |
밀실한 것 |
5이하 |
1:0.8~1:1.0 |
SM, SP |
5~10 |
1:1.0~1:1.2 |
|||
밀실하지 않고 입도분포가 나쁨 |
5이하 |
1:1.0~1:1.2 |
||
5~10 |
1:1.2~1:1.5 |
|||
자갈 또는 암괴 섞인 사 질 토 | 밀실하고 입도분포가 좋음 | 10이하 | 1:0.8~1:1.0 | SM, SC |
10~15 | 1:1.0~1:1.2 | |||
밀실하지 않거나 입도분포가 나쁨 | 10이하 | 1:1.0~1:1.2 | ||
10~15 | 1:1.2~1:1.5 | |||
점성토 |
0~10 |
1:0.8~1:1.2 |
ML, MH, CL, CH |
|
암괴 또는 호박돌 섞인 점성토 |
5이하 |
1:1.0~1:1.2 |
GM, GC |
|
5~10 |
1:1.2~1:1.5 |
|||
풍화암 | - | 1:1.0 ~ 1:1.2 | 시편이 형성되지 않은 암 | |
주) 1. 실트는 점성토로 간주, 표에 표시한 토질 이외에 대해서는 별도로 고려한다. 2. 위 표의 경사는 소단을 포함하지 않는 단일 비탈면의 경사이다. |
▶연암 이상 암반비탈면의 경사는 암반내에 발달하는 단층 및 주요 불연속면의 경사 및 방향을 이용한 평사투영해석을
실시하고 발생가능한 파괴형태에 대한 안정해석을 실시하여 비탈면의 경사를 결정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구간
불연속면 등의 암반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을 경우 시추조사에 의해 파악된 암반특성 (TCR, RQD 등)을 고려하여
암반비탈면의 경사를 결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시공 중 조사 및 이를 반영한 안정해석을 통해 안정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건설 > 비탈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일로 보강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에 적용하는 안전율 (0) | 2016.06.21 |
---|---|
앵커로 보강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에 적용하는 안전율 기준 (0) | 2016.06.21 |
쌓기비탈면의 표준경사 및 소단기준 (0) | 2016.06.20 |
비탈면 공법 비교 (0) | 2016.06.15 |
비탈면의 파괴형태 (0) | 2016.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