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비탈면
비탈면의 파괴형태MOAYO2016. 6. 14. 14:30
비탈면의 파괴형태
구 분 |
탈락(fall) |
활동(slide) |
퍼짐(spread) |
유동(flow) |
파 괴 형 태 |
|
|
|
|
파 괴 양 상 |
ㆍ흙이나 돌이 가파른 벼랑이나 비탈에서 떨어져 나와 공중에서 낙하하거나 굴러서 아래로 떨어짐 |
ㆍ활동물질과 활동면 사이에 전단변형이 발생 ㆍ평행활동과 회전 활동의 두 가지 형상 |
ㆍ지층중에 전단강도가 현저히 약한 층이 존재 할 때 그 층을 따라 흙덩이가 멀리 까지 퍼지면서 활동 하는 것 |
ㆍ소성적인 활동이 지배적인 경우 ㆍ활동이 대단히 느리며 지반 Creep가 발생 한다. |
▷비탈면의 붕괴현상은 자연적인 원인과 인위적인 행위에 의하여 발생하며, Varnes에 의해 제시된 암깎기 비탈면 붕괴형태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암반비탈면의 파괴형태는 원형파괴(Circular Failure), 평면파괴(Plane Failure), 쐐기파괴(Wedge Failure) 및 전도파괴(Toppling Failure)이며,
▷특히, 암반에서의 파괴는 절리면의 방향(주향 및 경사)이나 기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현장 지표지질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파 괴 형 태 | 붕 괴 의 예 | ||
Falls | Rock Fall | ||
Topples | Rock Topple | ||
Slides | Rock Topple | Rock Slump | Few Units |
Rotational Slides | Rock Slump | Few Units | |
Translational Slides | Few Units | Rock Block Slide | Many Units |
Rock Block Slide | Rock Slide | ||
Translational Slides | Many Units | ||
Rock Slide | Rock Spread |
구 분 | 파괴형태 | |
원형파괴 | | 파쇄나 풍화가 매우 심한 연암 등급 이하의 암반에서 발생되는 원형의 파괴이며 균일한 토사비탈면에서의 원호 회전활동과 파괴과정이 동일함 |
평면파괴 | 불연속면의 주향이 비탈면과 평행하고 비탈면의 경사각이 마찰각보다 클 경우에 발생하며 이때 파괴면은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됨 | |
쐐기파괴 |
| 두개의 뚜렷한 불연속면이 비탈면을 따라 비스듬히 존재할 때 발생하며 암반블록은 두 불연속면의 교차선의 경사각이 마찰각 보다 클 경우에 교차선 방향으로 유동함 |
전도파괴 | | 전도파괴의 발생조건은 절개면과 절리면의 경사방향이 반대이거나 절리면의 주향과 절개면의 주향이 비슷한 경우에 발생함 |
'건설 > 비탈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커로 보강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에 적용하는 안전율 기준 (0) | 2016.06.21 |
---|---|
깎기비탈면의 표준경사 및 소단기준 (0) | 2016.06.20 |
쌓기비탈면의 표준경사 및 소단기준 (0) | 2016.06.20 |
비탈면 공법 비교 (0) | 2016.06.15 |
Varnes(1978) 비탈면의 불안정 요인 (0) | 2016.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