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비탈면
Varnes(1978) 비탈면의 불안정 요인MOAYO2016. 6. 14. 13:19
Varnes(1978) 비탈면의 불안정 요인
분 류 |
요 인 |
지질학적 원인 |
①연약 물질 ②예민성 물질 ③풍화물질 ④전단물질 ⑤절리 또는 균열물질 ⑥투수성의 현저한 차이 ⑦불리한 방향의 구조적 불연속면(단층, 부정합, 접촉부 등) ⑧불리한 방향의 암반 불연속면(층리, 편리 등) ⑨강성의 현저한 차이(소성물질 위에 위치한 강성이며 조밀한 물질) |
지형학적 원인 |
①지구조적 또는 화산성 융기 ②Glacial rebound ③비탈기슭(slope toe)의 하식(河蝕, fluvial erosion) ④비탈기슭(slope toe)의 파랑침식(波浪浸蝕, wave erosion) ⑤측면부(lateral margin)의 침식 ⑥지표하 침식(용융, 파이핑(piping) 작용) ⑦비탈면 또는 관부(crest)의 퇴적재하 ⑧식생제거(산불, 가뭄에 의해) |
자연현상적(Physical) 원인 |
①집중강우 ②급한 눈의 융해 ③예외적으로 지속적인 강수 ④급한 수위강하(홍수와 조수) ⑤지진 ⑥화산분출 ⑦ 해빙 ⑧동결-융해 풍화 ⑨ 수축-팽창 풍화 |
인위적 원인 |
①비탈면기슭 또는 비탈면의 절취 ②비탈면 또는 비탈면관부(crest)에 재하 ③수위강하(저수지) ④산림벌채 ⑤관계수로 ⑥광산개발 ⑦인위적 진동 ⑧상하수도 등의 누수 |
'건설 > 비탈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커로 보강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에 적용하는 안전율 기준 (0) | 2016.06.21 |
---|---|
깎기비탈면의 표준경사 및 소단기준 (0) | 2016.06.20 |
쌓기비탈면의 표준경사 및 소단기준 (0) | 2016.06.20 |
비탈면 공법 비교 (0) | 2016.06.15 |
비탈면의 파괴형태 (0) | 2016.06.14 |